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서울 관악구갑 국회의원 유기홍 학력, 경력 및 이력에 대해 살펴보고 여태 국회의원 선거를 진행하면서 논란이 된 사항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서울 관악구갑 국회의원 기본 정보
이름 | 한문 | 영문 |
---|---|---|
유기홍 | 柳基洪 | YOO KIHONG |
생년월일 | 전화번호 | 이메일 |
1958년 6월 11일 | 02-784-7901 | [email protected] |
유기홍 국회의원 소속정당(단체)
- 제17대국회의원(서울 관악갑) 열린우리당
- 제19대국회의원(서울 관악갑) 새정치민주연합
- 제21대국회의원(서울관악구갑) 더불어민주당
유기홍 국회의원 학력 및 경력사항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졸업
- -경남대 북한대학원 졸업(정치학 석사)
- -한국청년단체협의회 (한청협) 의장
- -열린우리당 중앙당 시민사회특별위원회 위원장
- -17대 국회 교육위원회 청원심사소위원장
- -국회교육위원회 간사
- -열린우리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 -환경운동연합 자문위원
-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집행위원장
- -KBO(한국야구위원회) 고문
- -통합민주당 공교육대책위원회 위원
- -학부모모임 『관악 교육희망』상임고문
- -서울대학교 총동창회 이사
- -노무현재단 기획위원
- -미래교육희망 이사장
유기홍 국회의원 관련 더보기
국회의원 유기홍 보좌관
- 보좌관: 김재삼, 전성원
- 비서관: 김현호, 이민희
- 비서: 윤성준, 조민호, 박유림, 안유준
국회의원
국회의원(國會議員)은 대한민국 국민의 대표로서 대한민국 국회를 이루는 성원(成員)이다. 또한 국회라는 헌법기관의 성원인 동시에 국회의원 각 개인 자체가 헌법기관이다.
국회의원 선거 및 역할
국회의원은 대한민국에서 중앙의회인 국회를 구성하는 성원으로서, 유권자의 선거에 의해 선출되며 임기는 4년이다. 국회의원은 유권자의 의사를 대표하면서 공익을 위해 능력을 발휘하는 대리인이자 수탁인의 역할을 수행한다.
국회의원 역할 해석
국회의원의 역할 해석은 민주주의 관점에 따라 달라진다. 자치정의 민주주의를 추구하는 경우 대의제는 자치의 원리를 최대한 실현하고, 다수정의 민주주의를 추구하는 경우 대의제는 정당 지지율에 따라 의원을 선출하는 최선의 방법으로 간주된다.
국회의원 급여
2025년 기준 연봉 | 1억 5700만원 | 월급 구성 |
일반수당 707만 9천원 | 관리업무수당 63만 7190원 | 해마다 상여금 등 포함 |
국회의원 선출 및 의무
- 선거권: 만 18세 이상인 국민
- 특권: 불체포 및 면책 특권
- 의무: 품위 유지, 국회 출석, 법규준수 등
국회의원은 지역구와 비례대표로 선출되며, 한국의 선거구 인구 상한선은 28만 명이다.
자주 묻는 질문 FAQ
질문 1. 국회의원의 선출 방법은 무엇인가요?
답변 1. 국회의원은 4년마다 대한민국 국민의 선거에 의해 선출되며, 지역구 253인과 비례대표 47인으로 구성됩니다. 지역구 국회의원은 당해 국회의원지역구에서 유효투표의 다수를 얻은 자를 당선인으로 결정하고, 비례대표 국회의원은 득표비율에 따라 의석이 할당됩니다.
질문 2. 국회의원이 가지고 있는 특권과 의무는 어떤 것이 있나요?
답변 2. 국회의원은 불체포특권과 면책특권을 갖고 있으며, 현행범인일 경우를 제외하고는 회기 중 국회의 동의 없이 체포 또는 구금될 수 없습니다. 또한 국회에서 행한 발언과 표결에 관하여 국회 외에서 책임을 지지 않는 면책특권을 갖고 있습니다. 의무로는 헌법상의 의무와 국회법상의 의무가 있으며, 이에는 겸직금지의무, 청렴의무, 국익우선의무, 품위유지의무 등이 포함됩니다.
질문 3. 국회의원은 어떻게 선출되고 어떤 역할을 수행하나요?
답변 3. 국회의원은 대한민국 국민의 선거에 의해 선출되며, 국회의원은 유권자의 의사를 그대로 반영하는 대리인이자, 자율적으로 본인의 능력을 발휘하여 공익을 지향하는 수탁인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국회의원은 자치정의 민주주의를 추구한다면 대의제를 구현하고, 다수정의 민주주의를 추구한다면 정치 전문가들의 심의를 통해 공익을 추구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